예전에 올렸다가 지워진 글이라 다시 올릴까 하다 카페 내 다른 글에도 도움되는 글이 많아 그냥 두었던 글입니다.
그냥 한 번 더 올리면 그걸 핑계삼아 한 번 더 읽게 되니 혹여 도움이 되실까 다시 올려봅니다.
웹사이트마다 안전한 식물과 위험한 식물이 서로 다른 경우도 있고, 정반대로 이야기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정말 정확한 정보만 올려드리면 좋겠지만, 그 부분까지 판단하기에는 제 스스로 많이 부족하니 참고 용도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미흡한 부분은 조금씩 수정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 새들에게 안전한 식물
다음 나뭇가지들은 횃대로 써도 안전한 나무들이지만, 살충제나 화학물질을 뿌린 경우에는
물로 희석한 표백제나 식초와 같은 비독성 소독제를 이용해서 나뭇가지를 박박 문질러서 씻은 후,
물로 여러 번 헹구고, 잘 말려서 사용해야 합니다.
안전한 나뭇가지 (Safe Branches)
아몬드나무 ALMOND
사과나무 APPLE
서양 물푸레나무 ASH
감귤류 CITRUS (ANY)
층층나무 DOGWOOD
느릅나무 ELM
유칼립터스 EUCALYPTUS
구아바 GUAVA
마드로나 MADRONA
목련 MAGNOLIA
맨자니타 MANZANITA
견과 (밤나무 & 참나무는 제외) NUT (EXCEPT CHESTNUT & OAK)
파파야 PAPAYA
배나무 PEAR
소나무 PINE
자두나무 PRUNE
리본우드 RIBBONWOOD
사사프라스 나무 SASSAFRAS
THURLOW plant
단풍나무 VINE MAPLE
버드나무 WILLOWS: (GOAT, PUSSY & WEEPING)
안전한 식물 (Safe Plants)
아카시아 ACACIA
* 국내에서는 아카시아라고 부르는 나무는 본래 아까시나무로 새에게 해로운 식물입니다. 혼동 없으시길 바랍니다.
알로에 ALOE
아프리칸 바이올렛(제비꽃) AFRICAN VIOLET
천사의 눈물(물방울풀,또래기,병아리눈물) BABY'S TEARS
대나무 BAMBOO
베고니아 BEGONIA
부겐빌레아 BOUGAINVILLEA
별꽃 CHICKWEED
크리스마스 선인장(가재발 선인장, 개발선인장) CHRISTMAS CACTUS
키수스속 CISSUS (KANGAROO VINE)
콜레우스 COLEUS
행운목 CORN PLANT
꽃사과나무 CRABAPPLE
민들레 DANDELION
층층나무 DOGWOOD
구슬얽이(옥주염,다육) DONKEY‘S TAIL
행운목 변종들 DRACAENA VARIETIES
양치 고사리류(아스파라거스, 아디안툼) FERNS: (ASPARAGUS, BIRD'S NEST, BOSTON, & MAIDENHAIR)
무화과 FIGS: (CREEPING, RUBBER, FIDDLE LEAF, LAUREL LEAF)
GARDENIA
멕시코 담쟁이(엘렌 다니카 담쟁이덩굴) GRAPE IVY
에케베리아속(다육) HEN AND CHICKENS
소심조(염좌) JADE PLANT
카랑코에 KALANCHOE
목련 MAGNOLIA
만수국(금송화,홍황초) MARIGOLDS
루엘리아 MONKEY PLANT
산세베리아 MOTHER-IN-LAW’s tongue
한련(금련화) NASTURTIUM
카리싸 마크로카르파(카리싸자스민) NATAL PLUM
아우로카리아(남양삼나무) NORFOLK ISLAND PINE
야자 (빈낭나무, 대추야자, 팬팜, 관음죽, 테이블야자, 겐티아야자, 피닉스야자, 소철)
PALMS:(ARECA, DATE, FAN, LADY, PARLOUR, HOWEIA, KENTIA, PHOWNIX, SAGO)
페페로미아 PEPPEROMIA
페츄니아 PETUNIA
돈나무 PITTOSPORUM
마란타 PRAYER PLANT
퍼플 패션 PURPLE PASSION
홍콩야자 SCHEFFLERA
미모사 SENSITIVE PLANT
거미풀 SPIDER PLANT
스웨디시아이비 SWEDISH IVY
엉겅퀴 THISTLE
미니 홍콩야자 UMBRELLA
뿔우단풀(기누라) VELVET NETTLE
엘레강스(지바시스) WANDERING JEW
토끼풀 WHITE CLOVER
줄무늬말풀 ZEBRA PLANT
원 본 출 처 : http://www.michianabirdsociety.com/toxics.html
★ 새들에게 독성인 식물
독 성 식 물 | 독 성 부 위 | 특정 유독물질 | 증 상 |
아보카도 (Avocado) (Persea americana) | 씨, 잎, 풋과일, 줄기 |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심장 독성과 관련 | 쇠약, 횃대에 앉지 못함, 호흡곤란, 깃털 부풀림 |
아까시나무 (Black locust) (Robina pseudoacacia) | 나무껍질, 잎, 씨앗 | 로비틴, 로빈 Robitin, robin | 구토, 설사, 쇠약, 우울증, 쓰러짐 |
남조류 (Blue-green algae ) (Microcystis aeruginosa) | 모든 부위 | 아나톡신 A, Anatoxin A, 마이크로시스틴 mycrocystin | 날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자세, 잦은 배변, 호흡정지 |
잔테데시아(카라) Calla lily (Zantedeschia aethiopiea) | 모든 부위 | 수산염 Oxalates | 구강 염증, 모이를 삼키지 못하고, 구토 |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 모든 부위 | 리신 Ricin I & II, 글리코시다아제 glycosidase | 구토, 설사 (혈변을 보기도 함) 주의: 비드 공예품이나 방울에 사용된 홍두(상사자, 팥)을 삼켰을 때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Christmas cherry (Solanum pseudocapsicum) | 덩이줄기와 풋과일을 포함한 모든부위 | 솔라닌 Solanine, atropine-like alkaloids 사포닌 saponin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박수, 삼키질 못하고, 호흡 곤란, 동공확장, 소변을 보지 못함, 마비, 발작 |
커피콩 (Coffee beans) 차 (Tea) 카카오콩 Chocolate Beans(coffee) | 잎(차), 모든 초콜릿 특히, 다크초콜릿 | 카페인 Caffeine, 테오브로민 theobromine, 테오필린 theophylline | 신경계 자극, 호흡/심박수 증가, 발작, 설사 |
디펜바키아 (Diffenbachia) (Diffenbachia spp.) | 모든 부위 | 수산염 Oxalates | 구강 염증, 삼키질 못함, 구토 |
가지 (Eggplant) (Solanum melongena) | 줄기, 잎, 싹 ( 잘 익은 가지는 상관없음 ) | 솔라닌 Solanine, 아트로핀계 알카로이드 atropine-like alkaloids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박수, 삼키질 못하고, 호흡 곤란, 동공확장, 소변을 보지 못함, 마비, 발작 |
토란 (Elephant's ear) (Colocasia or Alocasia spp.) | 모든 부위 | 수산염 Oxalates | 구강 염증, 삼키질 못함, 구토 |
맥각곰팡이 (Ergot) (Claviceps purpurea) | 모든 부위 | 에르고린 알카로이드 Ergopeptide alkaloids | 사지로 가는 혈액의 공급 부족, 과잉민감성, 발작 |
디기탈리스 (Foxglove) (Digitalis pupurea) | 디기탈리스를 심은 화분이나 꽃병의 물까지 포함해서 전체 | 디지털리스 digitalis | 구토, 설사, 구강염증, 운동능력이 떨어지고, 불규칙적인 심박수, 쓰러짐 |
옥천앵두 Jerusalem cherry (Solanum pseudocapsicum) | 덩이줄기, 싹, 그리고 익지않은 열매를 포함한 모든 부위 | 솔라닌 Solanine, 아트로핀계 atropine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박수, 삼키지 못하고, 호흡곤란, 소변을 보지 못함, 마비, 발작 |
흰독말풀 (Jimsonweed) (Datura spp.) | 모든 부위, 특히 씨앗과 잎 | 아트로핀계 Atropine 스코포라민 scopolamine, 히오시아민 hyoscyamine |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박수, 삼키지 못하고, 호흡곤란, 동공 확장, 소변을 보지 못함, 마비, 발작 |
Lily of the valley (Convallaria majalis) | 모든 부위 | Cardiac glycosides: convallatoxin | 구토, 설사, 구강염증, 운동능력이 떨어지고, 불규칙적인 심박수, 쓰러짐 |
로코풀 (Locoweed) (Astragalus emoryanus) | 잎 | 스와인소닌 Swainsonine, 알카로이드alkaloids | 과잉민감성, 운동능력이 떨어지고, 구토, 졸림 |
Milkweed (Asclepias spp.) | 모든 부위와 유액(즙) | 카데노로이드 Cardenoloids (cardiac glycosides) | 구강 혹은 안면 물집, 불규칙적인 심박수,k 운동능력이 떨어지고, 쓰러짐 |
겨우살이 (Mistletoe) (Phoradendron villsum) | 모든 부위, 특히 열매 | 비스커민 Viscumin, 비스코톡신 viscotoxin | 헛구역질, 구토, 설사, 호흡곤란, 불규칙적인 심박수, 쓰러짐 |
Nightshade (Solanum spp.) | 모든 부위 | 벨라도나 Belladonna, 아트로핀계 알카로이드 atropine-like alkaloids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박수, 삼키질 못하고, 호흡 곤란, 동공확장, 소변을 보지 못함, 마비, 발작 |
Oak (Quercus spp.) | 모든 부위 | 탄닌 Tannins | 식욕상실, 설사, 갈증 |
협죽도 (Oleander) (Nerium oleander) | 모든 부위 | 글리코사이드 Glycosides: oleadrum, neroside | 구토, 설사, 구강염증, 운동능력이 떨어지고, 불규칙적인 심박수, 쓰러짐 |
Philodendron (Philodendron scandens) |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위 | 수산염 Oxalates | 구강 염증, 삼키지 못하고, 구토 |
포인세티아 (Poinsettia) (Euphorbia pulcheriama) | 잎, 줄기, 흰 수액 | 포볼에스테르 Phorbol esters | 구토, 설사, 안면 혹은 눈 염증 |
미국자리공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 뿌리, 잎, 열매 | 사포닌 Saponin | 구토, 떨림, 쓰러짐 |
감자 (Potatoes) (Solanum tuberosum) | 줄기, 잎, 싹, 녹색 껍질 | 솔라닌 Solanine, atropine-like alkaloids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거나 빠른 심박수, 삼키지 못하고, 호흡곤란, 동공 확장, 소변을 보지 못하고, 마비, 발작 |
Rhododendron (Rhodedendron simsii), Rhododendron species (Azalea) | 모든 부위 | Andromedotoxin, grayanotoxin | 구토, 쇠약, 쓰러짐, 발작, 인사불성, 혼수상태 |
담배 (Tobacco) (Nicotiana spp.) | 모든 부위 | 니코틴 Nicotine | 구토, 설사, 과잉민감성, 발작, 근육경련, 기침, 눈 염증 |
토마토 (Tomatoes) (Solanum lycopersicum) | 줄기, 잎, 싹 (익은 토마토는 상관없음) | 솔라닌 Solanine, atropine-like alkaloids | 구토, 설사, 불규칙적이거나 빠른 심박수, 삼키지 못하고, 호흡곤란, 동공확장, 소변을 보지 못하고, 마비, 발작 |
Virginia creeper (Parthenocissus quinquefolio) | 열매, 잎 | 옥살산(수산) Oxalic acid | 구토, 설사 (혈변 가능성도 있음), 졸음, 인사불성, 신부전증 |
Yew (Taxus media) | 나무, 껍질, 씨앗, 잎 | 알카로이드 Alkaloids ( 탁신 taxines) | 근육경련, 호흡곤란, 쓰러짐, 돌연사 |
원 본 출 처 : http://www.peteducation.com/article.cfm?c=15+1912&aid=2236
새들이 저런 독성식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어쩔 수 없이 독성 식물에 노출되었다면 빠른 시간내에 새를 진료할 수 있는 동물병원으로 지체하지 말고 데려가시는게 그나마 차선일 것입니다. 평소에 미리 주변에 새를 진찰할 수 있는 병원을 알아봐 두시는게 긴급한 경우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